일본 영주권 정리 :: 일반 영주권 vs. 특별 영주권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일본 영주권 종류와 해외 체류 시 주의사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일본 영주권에 대해 관심 있는 분들은 아래 본문을 참고해주세요.

1. 일반 영주권

일반 영주권은 일본에서 일정 기간 거주한 후 신청할 수 있는 영주권으로, 외국인이 일본에서 오랜 기간 체류하면서 취득할 수 있습니다.

취득 조건

  • 일본에서 10년 이상 체류해야 함
  • 그중 5년 이상은 일본에서의 공헌 사실이 인정되어야 함
  • 성실하게 세금을 납부해야 함
  • 일본에서의 사회적·경제적 능력이 인정될 경우 유리

예를 들어, 유학(5년) + 취업(5년)을 한 경우 일반 영주권 신청이 가능합니다.

2. 특별 영주권

특별 영주권은 재일교포(한국, 중국, 대만 출신) 및 그와 동일한 권리를 가진 사람들이 취득할 수 있는 영주권입니다.

특징

  • 일본에서 거주하는 재일한국인, 재일조선인, 재일중국인 등이 대상
  • 일반 영주권보다 더 많은 권리를 가짐
    • 예를 들어, 입국 심사 시 일본인과 동일한 심사대 이용 가능
    • 반면, 일반 영주권자는 일본을 방문할 때 외국인 전용 심사대를 이용해야 함

3. 영주권 취득 후 해외 체류 시 주의사항

해외 체류 가능 기간

  • 단기 체류(1년 미만): 재입국 허가 없이 가능
  • 장기 체류(1년 초과): 반드시 재입국 허가를 받아야 함
    • 1년을 초과하여 해외 체류하면 영주권이 박탈될 수 있음

재입국 허가 유형

  • 단기 재입국 허가: 최대 1년 체류 가능
    • 1년 이내 일본에 돌아오면 영주권 유지
    • 1년을 넘기면 영주권 박탈
  • 멀티 재입국 허가(장기 체류용): 최대 3~5년 체류 가능
    • 3년 혹은 5년의 유예 기간 제공

멀티 재입국 허가(3년~5년) 조건

5년 허가 가능 조건

  • 일본 입관법 신고 의무를 성실히 이행한 사람
  • 의무교육(초·중학교) 자녀를 둔 부모
  • 해외 취업 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

3년 허가 가능 조건

  • 일본 입관법 신고 의무를 성실히 이행한 사람
  • 의무교육(초·중학교) 자녀를 둔 부모
  • 해외 취업 기간이 1년 이상 3년 미만인 경우

즉, 해외에서 3년 이상 체류하려면 5년짜리 허가를 받아야 하고, 1년 이상 3년 미만 체류하려면 3년짜리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4. 일본 영주권 유지하는 방법

  • 1년 이상 해외 체류 시, 반드시 재입국 허가 신청
  • 3년~5년 장기 체류를 원할 경우, 멀티 재입국 허가 신청
  • 세금 납부 및 신고 의무 성실히 수행

일본에서 영주권을 취득한 후 박탈당하지 않으려면, 체류 기간과 재입국 허가를 철저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마무리

오늘은 일본 영주권의 종류, 취득 조건, 해외 체류 시 주의사항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일반 영주권과 특별 영주권 차이

  • 일반 영주권자는 외국인 심사대를 이용하지만, 특별 영주권자는 일본인과 동일한 심사대 이용 가능
  • 일반 영주권 취득 후 1년 이상 해외 체류 시 재입국 허가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