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도어락 구매 가이드 및 고장 시 대처법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디지털 도어락 구매 방법과 고장 시 대처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디지털 도어락에 대해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 본문을 참고해주세요.

디지털 도어락이란?

디지털 도어락은 기본적으로 번호 입력 방식으로 문을 여는 장치입니다. 하지만 추가적인 기능(카드, 지문, 수동키 등)이 포함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더욱 안전합니다.

  • 1WAY 도어락: 번호 입력만 가능
  • 2WAY 도어락: 번호 + 카드 사용 가능
  • 3WAY 도어락: 번호 + 카드 + 지문(또는 기타 기능) 사용 가능

✅ 주의사항

  • 도어락이 고장 날 경우, 번호 입력이 먹통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따라서 2WAY 이상(카드 사용 가능 제품)을 추천합니다.

1WAY vs 2WAY vs 3WAY 차이점

✅ 1WAY 도어락 (번호 입력만 가능)

  • 가장 기본적인 모델
  • 번호를 입력해야만 문이 열림
  • 번호 입력 패드가 고장 나면 문을 열 수 없음
  • 비추천: 키패드 고장 시 대처 방법이 없음

추천 대상

  • 단순한 기능을 원하는 경우
  • 보조 도어락으로 사용하는 경우

 2WAY 도어락 (번호 + 카드 사용 가능)

  • 번호 입력 + 카드 등록 가능
  • 번호 입력이 고장 나더라도 카드로 문을 열 수 있음
  • 추천: 기본적인 보안성과 편리함 제공

추천 대상

  • 가성비 좋은 도어락을 찾는 경우
  • 비상시 대비 기능이 있는 도어락이 필요한 경우

 3WAY 도어락 (번호 + 카드 + 지문 인식 가능)

  • 번호 입력 + 카드 + 지문 인식 기능 추가
  • 가장 다양한 방법으로 문을 열 수 있음
  • 지문 인식이 지원되는 최신형 도어락
  • 추천: 보안이 중요한 가정이나 사무실에 적합

추천 대상

  • 보안이 중요한 가정, 사무실
  • 비밀번호 입력 없이 빠르게 문을 열고 싶은 경우

 주의사항

  • 최신 도어락 제품에는 수동키 기능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 수동키가 있으면 배터리 방전 또는 전자 기능 고장 시에도 문을 열 수 있습니다.
  • 가능하면 수동키가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도어락 고장 시 대처 방법

많은 분들이 도어락이 고장 나면 AS 기사님이 바로 올 거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적으로 바로 방문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비상 상황을 대비해야 합니다. 

  • 번호 입력이 안 되는 경우 → 카드 태그로 열어보기
  • 카드가 안 되는 경우 → 비상키(수동키) 사용하기
  •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 외부에서 건전지를 연결하는 기능 확인

이런 이유로 1WAY 도어락(번호 입력만 되는 제품)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최소한 2WAY(번호 + 카드) 이상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디지털 도어락 구매 시 체크 사항

1. 1WAY, 2WAY, 3WAY 중 선택

  • 가능하면 2WAY 이상(번호 + 카드 기능) 제품을 선택
  • 보안이 중요하다면 3WAY(지문 인식 포함) 모델 고려

2. 수동키(비상키) 포함 여부 확인

  • 최신 제품 중에는 수동키가 없는 경우가 많음
  • 배터리 방전, 기기 오작동 시 대비 가능해야 함

3. 도어 두께 확인

  • 도어 두께에 따라 추가 부품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
  • 구매 전 제품 설명을 꼼꼼히 체크할 것

4. 배터리 교체 및 AS 서비스 확인

  • 도어락 배터리는 보통 6개월~1년 주기로 교체 필요
  • 배터리 방전 시 외부에서 응급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지 확인

결론

  • 1WAY(번호 입력만 가능) 제품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 2WAY(번호 + 카드) 이상 제품이 최소한의 안전 장치가 됩니다.
  • 3WAY(번호 + 카드 + 지문) 제품은 보안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합니다.

추천 구매 기준

  • 가성비를 원한다면 → 2WAY(번호 + 카드) 제품 추천
  • 보안이 중요하다면 → 3WAY(번호 + 카드 + 지문) 제품 추천
  • 수동키 기능이 있는 제품인지 확인 필수!

디지털 도어락을 구매할 때는 단순히 가격만 고려하지 마시고, 비상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할 수 있는지도 꼭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미리 비상카드를 등록하고 배터리 교체 주기를 체크해 두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